정량적 조사, 정성적 조사
보통 스타트업에서는 정성조 사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한다. 정량적인 데이터만 집중하고 그와 관련된 분석 툴에만 관심이 있다. 하지만 정성적이 데이터가 더 중요하다. 왜냐! 고객과의 소통을 통한 분석이 서비스의 해답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성적 조사를 통해서는 Why? 에 대한 대답을 얻을 수 있다.
이런 정성적이 조사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 설문조사
- 심층 인터뷰
설문조사
설문조사에서는 고객에게 어떤 설문을 할것인지부터 생각을 하면 안 된다.
그 설문을 하려는 이유 즉 목표가 무엇인지부터 정해야 한다. 왜 우리는 이 설문조사를 하려는 것인가?
예를 들어 우리 기업의 매출이 줄어들었다면 그것의 이유에 대한 가설이 있을 것이다.
1. 회사의 매출이 작년 대비 줄어들었다.
2. 고객 이탈에 대한 원인 파악이 필요하다.
3. 고객 이탈의 이유는 이러이러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가설)
4. 이러한 가설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어떠한 질문을 던질 것인가?
가 순서가 되어야 한다.
여기서 고객에게 질문을 던질 설문지를 계속해서 고민해야 한다.
나라면 이 질문에 대답을 할 것인가?라는 입장에서 설문지를 작성해야 한다.
여기서!
설문지는 길수록 응답자는 줄어들 것이다. 귀찮으니까!
이럴 때는 인터뷰를 기획하는 것이 좋다.
인터뷰를 기획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1. 무엇이 문제인가?
2. 어떤 고객을 인터뷰할 것인가?(예, 최근 이탈 고객)
인터뷰 가이드 만들기(준비물, 질문지, 체킹 사항 등)
3. 그 고객을 커넥팅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예, 이탈 고객 메일 주소)
4. 인터뷰 참여 고객에 대한 보상은? ( 예, 한 시간에 5만 원을 입금, 또는 현물 또는 포인트)
* 인터뷰 참여 시 지급한 현금은 기타 소득이기 때문에 소득신고를 해야 한다.
* 이름, 주민번호, 입금은행, 예금주를 적은 정보가 필요하다.
* 5만 원 이하는 원천 징수를 하지 않는다.
5. 인터뷰 일정 잡기
6. 인터뷰 준비물 챙기기
* 고객 답변을 모두 받아 적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럴 땐 핀 마이크를 준비해서 녹음하는 것이 좋다.
7. 약속 장소에 늦지 않게 미리 가서 준비한다.
8. 인터뷰 내용 정리하기(항목을 분야별로 분류해서 정리)
9. 반복되는 내용 패턴 찾기
10. 결과를 공유하고 사업에 반영하기
역시 많은 고민과 실행이 답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021/02/16 - [성공적인 스타트업] - 리비히의 '최소량의 법칙'
리비히의 '최소량의 법칙'
독일의 화학자 리비히(Justus von Liebig, 1803-1873)의 최소량의 법칙(Law of the Minimum)이라는 것이 있다. 다른 영양소들이 아무리 많아도 가장 적은 영양소가 식물의 성장을 제한한다는 식물 성장의 법칙
nanamamacoco.tistory.com
'성공적인 스타트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생활의 건강 멈춤 없는 그로잉 업_차석용 부회장의 메세지 (0) | 2021.03.22 |
---|---|
피치덱(Pitch Deck) (0) | 2021.03.13 |
행동 경제학(경제학+심리학) (0) | 2021.02.16 |
리비히의 '최소량의 법칙' (0) | 2021.02.16 |
Marketing KPI(핵심성과지표) 설정_마케팅 KPI_인스타그램 (0) | 2021.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