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행동은 상황과 환경에 따라서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심지어 그 행동을 우리가 원하는 바로 유도할 수 있게도 가능하다."
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의 심리학적 분석에 따르면 인간의 사고체계는 두 가지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데
시험을 칠때나 연애를 할 때 물건을 살 때 아래 두 가지 시스템이 충돌하고 융합, 상호보완, 사고하게 된다.
- SYSTEM1 : 빨리 생각하는 기본적 사고체계 -> 빠른 직관
- SYSTEM2 : 느리고 노력을 요하는 사고체계 -> 느린 이성
이런 심리학에서 논의되던 SYSTEM1이 경제학에서도 주목받기 시작했다.
행동경제학에서 가장 유명한 이론을 뽑자면 "전망 이론(Propect Theory)"이다.
이는 모두 SYSTEM1과 관련이 있는 특징이다.
- 준거점 비교 (1,000만 원 버는 사람이 90만 원을 버는것과 10억을 버는사람이 90만원을 버는것의 차이)
- 민감성 감소의 원칙 ( 이익이나 손실이 점점 커질수록 그 차이를 덜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
- 손실 회피 ( 100만 원의 이익보다 100만원의 손실을 더 크게 느낌)
참고서적 > “생각에 관한 생각” - 대니얼 카너먼 -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483920
생각에 관한 생각
새로운 인간학의 지평을 연 현대의 고전, 행동경제학과 인지심리학의 바이블 『생각에 관한 생각』. 21세기 들어 분야를 막론한 여러 학문에서는 인간의 한계와 불완전성에 대한 언급과 주장이
book.naver.com
디폴트의 힘
: 말 그대로 초기 설정을 의미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넛지> 저자 리처드 탈러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 개선을 위해서는 디폴트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한다. 행동 경제학에는 현상유지 경향이라고 해서 사람들은 주어진 상황에 순응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그런데 그 비율이 5%가 해당된다는데 그 말은 곧 95%가 기업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이다.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 게임 요소를 마케팅에 접목하는 것
사이트에 유입하기 위해 출석체크, 글 작성 수, 방문 활동에 따른 점수를 매겨 이용 등급을 매기는 것
이를 통해 마케팅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포상, 재미, 경쟁 등이 포함되어야 더 효율적이다.
소셜 프루프(Social Proof)
: 다른 사람의 행동이 우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 _ 댓글이나 리뷰, 추천 또는 공유
70% 이상의 미국인들이 구매 결정을 내리기 전에 제품 리뷰를 본다고 한다.
63% 이상의 고객이 상품 리뷰가 있는 페이지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한다.
전문가 social proof
유명인 social proof
일반 유저 social proof
군중 social proof
지인 social proof
이케아 효과
: 소비자들이 조립형 제품을 구매해 직접 조립함으로써 완제품을 구매하는 것보다 더 높은 만족감을 얻게 되는 효과
앵커링 효과
: 협상 테이블에서 처음 언급된 조건에 얽매여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효과
정가를 높게 측정하지만 항상 할인 이벤트를 통해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기법
총비용에 대한 노출보다 할부했을 때의 금액을 노출함으로써 심리적 부담감을 줄이는 기법
'성공적인 스타트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생활의 건강 멈춤 없는 그로잉 업_차석용 부회장의 메세지 (0) | 2021.03.22 |
---|---|
피치덱(Pitch Deck) (0) | 2021.03.13 |
스타트업이 성공하려면 정성적 조사가 중요하다. (0) | 2021.02.18 |
리비히의 '최소량의 법칙' (0) | 2021.02.16 |
Marketing KPI(핵심성과지표) 설정_마케팅 KPI_인스타그램 (0) | 2021.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