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업무를 하다 보면
KPI가 중요하다! 너희의 KPI가 뭐냐? 등등의 대화가 오갑니다.
특히 인스타를 잘 안 하시는 이사님은 늘 말하죠 " 팔로우 수는 늘었냐?!!!"
도대체 그 중요한 KPI가 뭐지?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란?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한 성과지표로써 미래성과에 영향을 주는 여러 핵심자료를 묶은 성과평가입니다. 즉, 핵심 성과지표!
지표의 수치는 정량적으로 되어야 합니다. 정성적이어서 못한다?
아니 정성적인 것도 측정할 수 있게 정량화해야 합니다.
그 목표치는 실제로 달성 가능해야 하는데 우선 되겠지!라는 생각으로 비현실적인 목표치를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KPI 설정 시 다양하게 한다고 좋은 것이 결코 아닙니다.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 목적 달성을 위해 지속적인 고민이 필요합니다.
그 과정 없이 다양하게만 접근하고 KPI가 많으면 좋다는 함정에 빠지면 안 됩니다.
그것이 KPI의 실패의 가장 큰 요인입니다.
각각의 요인들은 독립적으로 설정하되 전체를 봤을 때 설명이 되어야 합니다.
정량적으로 설정이 되어야 되다 보니 쉬운 설정으로 접근을 하기가 쉽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인 고민을 통한 세부적인 설정이 필요합니다.
회사에서 KPI가 자칫 평가기준으로 생각하기도 하는데 이는 평가기준이 아니라 우리가 가야 할 목표입니다.
마케팅 KPI측정은 마케팅 부서의 중요한 기능 중에 하나입니다. 왜?
요즘처럼 핸드폰의 사용률이 늘어나는 시기에 디지털 마케팅은 KPI의 적절한 사용으로 번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디지털 마케팅이 치열해지기도 했는데요 여기서 살아남으려면 목표와 지표를 지속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스마트폰을 소유한 비율의 증가는 현대 디지털 경제에서 표준이 되고 있습니다.
이는 곧 모든 디지털 마케팅 활동을 측정할 수 있다는 뜻인데요 TV 또는 인쇄광고와 같은 기존 미디어와는 달리
디지털에서는 세부적인 마케팅 전략을 가능하게 됩니다.
이렇게 측정해야 어떻게 관리하고 향상할 수 있을지가 이야기되겠지요?
그중에서 인스타그램 KPI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인스타그램에서 브랜드의 성과를 모니터링할 때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에 도달입니다.
도달은 인스타그램의 인지도 및 가치를 보여주는데요.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도달 범위를 높이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여기서!
* 도달수 : 고유한 조회수
* 노출수 : 게시물의 총 조회수(한 사람이 5번 조회하면 5회 반영)
브랜드 관점에서 노출보다는 도달 범위를 확인하는 것이 브랜드 인지도를 추적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도달 범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해시태그가 중요한데요. CTA(Call To Action : 행동 유도 버튼)이 참여를 위해 최적화되었는지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해시태그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시 포스팅 올릴게요~)
* 인스타그램에서 팔로워가 2,000명이든 20,000명이든 관계없이 비즈니스와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바로 '참여'입니다.
우리는 보통 팔로워 수를 보고 판단하지만 이는 허영 메트릭 일뿐입니다.
그럼 인스타그램에서 참여란 무엇인가?
팔로워가 게시물 중 하나를 좋아하거나 댓글을 달거나 저장한 수
인스타그램 참여율을 계산해봅시다
게시물의 총 좋아요 수와 댓글 수롤 팔로워 수로 나눕니다.
참여율은 업계 표준으로 평균적으로 1%~3%로 설정되고
3%+의 비율은 매우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게시물당 또는 한 달등으로 계산해 볼 수가 있겠죠?
인스타(Instagram) 지표
- 팔로워 성장
- 오디언스 인구통계
- 웹사이트 클릭수
- 게시물 도달(reach)
- 인게이지먼트 비율(=참여율)
- 공유
- 노출
- 댓글 : 댓글이 많으면 인기 게시글 상위권에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짐 / 댓글 유도 콘텐츠_질문 유도,
- 도달 : 잘 된 해시태그일수록 도달률이 높음. 게시물이나 스토리를 본 순 사용자의 수
- 동영 상조회
- 이메일 보내기 버튼 누름
- 저장 : 브랜드의 유용한 측정 항목
- 좋아요 : 내가 올린 콘텐츠에 대해 호감도를 측정할 수 있음, 3%+의 비율인 경우는 평균보다 높음
- 찾아가는 길 보기 누름
- 텍스트 버튼 누름
- 통화 버튼 누름
스토리에 투표를 올리거나 이벤트 상품 등으로 참여를 유도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 인스타 KPI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다음 시간에는 유튜브 KP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공적인 스타트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생활의 건강 멈춤 없는 그로잉 업_차석용 부회장의 메세지 (0) | 2021.03.22 |
---|---|
피치덱(Pitch Deck) (0) | 2021.03.13 |
스타트업이 성공하려면 정성적 조사가 중요하다. (0) | 2021.02.18 |
행동 경제학(경제학+심리학) (0) | 2021.02.16 |
리비히의 '최소량의 법칙' (0) | 2021.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