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 로널드 로런스 메이스는(1941-1998) 년생으로
아홉 살 때 척수성 소아마비로 1급 중증 장애인이 되었고
그때부터 휠체어와 늘 함께했다.
그는 노스캐로라이나 주립대학교에 입학하였지만
대학 계단을 오르내릴때 늘 친구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 대해
졸업 후에 건물의 접근성 법안의 초안을 만들었으며 이는 미국 최초였다.
노스 캐로라이나 유니버설 디자인센터 소장을 역임하면서
공정 주택 정안, 장애인법, 건축지침 등의 제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메이스는 1973년 미국 최초의 법률인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접근성 건축 법규 제정에 긴밀히 관여했으며, 1988년 공정거래법, 1990년 건축 등 장애인의 접근성이 보장되는 법률을 제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계속했다.
로널드 로런스 메이스는 나이와 능력에 관계없이 모두를 위한 디자인 세계를 변화시킨
잘 알려진 건축가, 교육자, 연구원, 옹호자, 제품 디자이너로 알려져 있다.
그는 유니버설 디자인 센터 (NC 롤리에 있는 NC 주립 대학교의 디자인 스쿨)의 설립자이자 프로그램 디렉터였다.
미국 NC주립대 디자인대학에 따르면 메이스는
"모든 제품과 구축 환경을 연령, 능력, 삶의 지위에 관계없이 모두가 최대한 미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개념"을 설명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이라는 용어를 고안했다.
유니버설디자인7원칙
1. 공평한 사용 (Equitable)
: 누구라도 차별감이나 불안감, 열등감을 느끼지 않고 공평하게 사용 가능할 것
2. 사용상 융통성 즉 자유도 (Flexibility in Use)
: 서두르거나, 다양한 생활환경 조건에서도 정확하고 자유롭게 사용 가능할 것
3.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Simple & Intuitive)
: 직감적으로 사용방법을 간단히 알수 있도록 간결하고, 사용시 피드백이 있어 필요한 정보를 즉시 알수 있을 것
4.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 (Perceptive Information)
: 정보구조가 간단하고, 전달수단을 통해 정보 입수가 가능한가?
5. 오류에 대한 포용록(Tolerance for Error)
: 사고를 방지하고, 잘못된 명령에도 원래 상태로 쉽게 복구가 가능하여 순간의 실수가 위험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할 것
6. 적은 물리적 노력(Low physical Effort)
: 무의미한 반복동작이나, 무리한 힘을 들이지 않고 신체에 부담이 가지않는 자연스러운 자세로 사용이 가능할 것
7. 접근과 사용을 위한 충분한 공간 (Size & Space for Approach Use)
: 이동이나 수납이 용이하고, 다양한 신체조건의 사용자가 사용이 가능하여 접근과 이용을 위한 충분한 크기와 공간을 확보 할것
여기서 일본의 유니버설디자인 추가 3원칙을 소개한다.
- 다양한 모든 사람이 생활하기 쉬운, 사용하기 쉬운 디자인
- 적극적으로 오감을 활용한 개성적인 디자인
- 모든 사람과 함께 '지구환경'을 포함한 모든 환경에도 배려하는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의 포인트!
- 특별한 것이 아닌 공용화(메인 스트림화)
- 당사자 참여.참획으로 사용하기 쉽도록
-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
- 집요하게 생각하고 대화한다(의견을 잘 듣는다.)
- 지속적으로 파악한다(PDCA사이클) : PLAN(계획)-DO(실시)-CHECK(점검)-ACTION(개선)을 반복하는 것
마을만들기의 유니버설 디자인
- 모든사람을 고려할 것
- 모든 사람이 참여할 것
- 종적으로 다루지 않고 유연하게 사고할 것
- '그것을 어떻게'든과 같이 끝까지 포기하지 않을 것
- 되고 나서도 개선을 지속할 것
- 이것에 기반한 계획,설계,제도,행정,체계의 사상
마지막으로 일상속의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련된 TED 강연을 소개한다.
2021/02/02 - [유니버설 디자인] - 배리어프리,유니버설디자인의 사고방식
배리어프리,유니버설디자인의 사고방식
" 복지마을 만들기 / 배리어 프리 / 유니버설 디자인 " 복지마을 만들기 : 신체에 장애가 있어도 일반적으로 장애가 없는 사람들과 동등하게 생활하고 사회참여가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 : 고령
nanamamacoco.tistory.com
'유니버설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에 다니고 싶어도 갈 수 있는 교통이 없어 경제활동을 포기해야만 해요. (0) | 2024.03.14 |
---|---|
배리어프리 공원,관광시설 (0) | 2021.03.30 |
재난 피난시에 장애인의 이동문제 (2) | 2021.03.06 |
배리어프리, 유니버설디자인의 대상자 (0) | 2021.02.26 |
배리어프리,유니버설디자인의 사고방식 (1) | 2021.02.02 |
댓글